미디어시민연대, '경기시민팩트체커 연구활동보고서' 내

시민들이 직접 경기도 관련 뉴스 허위조작정보 판단

김건아 기자 | 기사입력 2023/11/06 [01:00]

미디어시민연대, '경기시민팩트체커 연구활동보고서' 내

시민들이 직접 경기도 관련 뉴스 허위조작정보 판단

김건아 기자 | 입력 : 2023/11/06 [01:00]

미디어시민연대(대표 문채희)가 10월 30일 경기시민팩트체커 연구활동 보고서를 냈다. 

 

▲ 경기시민팩트체커 연구활동 보고서 표지   © 군포시민신문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의 공모사업인 '경기시민팩트체커 연구활동'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시민이 직접 경기도 관련 뉴스를 팩트체크하는 사업이다. 미디어시민연대는 김정대 사)한국인터넷미디어윤리위원회 이사를 총괄 책임연구원으로 두고 지난 6월 시민 5명을 모집하고 전문멘토 4명과 함께 8월 말까지 이 사업을 진행했다. 

 

미디어시민연대는 소위 '가짜뉴스' 문제의 본질을 시민의 관점으로 파악하기 위해 그 현황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고 보고서에서 밝혔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에는 '가짜뉴스'보단 '허위조작정보'가 적합한 표현이라는 언급이 담기기도 했다. 뉴스 작성 시 정보는 항상 한정돼 있으므로 뉴스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오히려 뉴스의 문제는 기자나 언론사가 모종의 의도를 갖고 일부 진실을 선택하고 거짓을 썩어 생산하는 허위조작정보가 더 심각한 문제라는 설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5명의 시민팩트체커는 경기도 관련 뉴스 70개를 팩트체크 했으며 그중 58개는 참뉴스, 3개는 허위조작정보, 9개는 참뉴스와 허위조작정보 경계에 있는 판단 불가 뉴스라고 판단했다. 

 

미디어시민연대는 일반 시민이 전문영역인 팩트체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전문가 멘토단을 구성하고 '허위조작정보 진단표'를 자체 개발해 적용했으며, 격주마다 각자의 진단 결과물을 함께 검증해 팩트체크 역량 강화를 도모했다고 밝혔다.

 

또 KBS 경인과 OBS의 뉴스를 팩트체크 대상으로 삼았다면서, 이들 지상파 방송국은 공공재인 전파를 사용해 공공성을 갖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미디어시민연대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 시민이 팩트체크해 분명한 한계가 있었으나, 시민의 눈으로도 허위조작정보가 3개나 보였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일 수 있다면서 허위조작정보는 적은 수라도 결코 생산되면 안 된다고 총평했다.

 

# 독자가 내는 소중한 월 5천원 이상의 자동이체 후원은 군포시민신문 대부분의 재원이자 올바른 지역언론을 지킬 수 있는 힘입니다. 아래의 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시면 월 자동이체(CMS) 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s://ap.hyosungcmsplus.co.kr/external/shorten/20230113MW0S32Vr2f 

* 후원계좌 :  농협 301-0163-7925-91 주식회사 시민미디어 

 

  • 도배방지 이미지

일상의 아름다움
메인사진
[일상의 아름다움] 광대나물
1/4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