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시간 일하고 고작 3만원, 폐지 줍는 윤 할아버지 이야기

버는 돈 적지만 직업이란 생각으로 열심히 일 해

김건아, 진이헌 시민기자 | 기사입력 2023/03/14 [08:40]

14시간 일하고 고작 3만원, 폐지 줍는 윤 할아버지 이야기

버는 돈 적지만 직업이란 생각으로 열심히 일 해

김건아, 진이헌 시민기자 | 입력 : 2023/03/14 [08:40]

아침 10시에 나와서 폐지 수집 노동을 하다가 저녁 12시에야 집에 들어가는 노인이 있다. 금정에 사는 70대 윤 할아버지다. 3월 11일 토요일, 쉬는 날 없이 365일 일한다는 그의 하루를 엿보기 위해 뒤를 따라가 보았다.

 

윤 할아버지의 일과

 

윤 할아버지는 세 곳의 거점을 중심으로 일한다. 산본시장 입구와 산본시장 뒷골목, 그리고 산본시장 근처의 한 과일가게 앞이 바로 그의 거점이다. 거점이란 다름 아닌 ‘폐지가 많이 나오는 곳’이다. 그는 거점마다 리어카를 세워둔다. 일의 효율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폐지에 ‘임자가 있음’을 알리기 위해서다. 

 

이 거점들 사이의 거리, 그리고 그것들과 고물상 사이의 거리는 그리 멀지 않다. 그래서 윤 할아버지는 많이 걷지는 않는다(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걸은 거리 약 5km). 하지만 걷는 시간이 적은 만큼 한 곳에서 오래 일한다. 쌓여 있는 종이 박스를 하나하나 접어서 리어카에 싣는 작업이 끊임없이 계속된다. 다 실었을 때 리어카가 꽉 찼으면 고물상으로 끌고 가고, 안 찼으면 다른 거점으로 이동한다.

 

▲ 윤 할아버지가 폐지를 리어카에 싣고 있다. 3월 11일. (사진=김건아)  © 군포시민신문


윤 할아버지의 하루는 이 과정의 반복이다. 그러다가 고물상이 문을 닫는 시간이 되면 가서 그날 갖다준 폐지의 값을 결산한다. 결산 이후에도 윤 할아버지는 한참을 더 일한다. 고물상이 문을 닫아도 폐지는 계속 나오기 때문이다. 12시까지 리어카에 종이를 싣고 다음 날 아침에 나가자마자 그것을 끌고 고물상에 간다. 아침마다 일과를 시작하는 동시에 끝내는 윤 할아버지다. 

 

▲ 윤 할아버지가 리어카를 끌고 가고 있다. 3월 11일. (사진=진이헌)  © 군포시민신문

 

이렇게까지 일하는 이유

 

윤 할아버지는 포천의 한 염색 공장에서 일했었다. 그러다 회사가 망해 어머니가 사는 금정으로 이사 온 것이 대략 20년 전이다. 그중 산본시장 주변에서 폐지를 수집한 기간이 10여 년. 폐지 수집은 노후 대비를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자녀들의 형편도 넉넉지 않은 데다 연금도 가입 기간이 짧았기 때문이다. 거기다 마땅히 일할 만한 곳도 없었다. 10년 전도 지금도 폐지 수집이 사실상 유일한 노후 대비 수단이다.

 

다만, 아무리 노후 대비가 중요한 일이라 해도 주말까지 포기할 일일까. 궁금해져서 “주말엔 쉬셔도 되지 않으세요”라고 물으니 의외의 답이 돌아온다. “그럼 종이 박스 널려 있는 거 어떡해요. 이게 믿음이 중요한 거예요”. 윤 할아버지가 매일 폐지를 치울 것이라는 상인들의 믿음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부응하려는 책임감이 그가 주말에도 하루 종일 일을 하게 만드는 중요한 동기이다.

 

그러나 보상은..

 

하지만 그 책임감으로 하루 14시간 동안 일한 대가는 턱없이 적다. 고작 3만 원. 윤 할아버지가 산본 시장과 주변 상가에 기여한 부분에 비하면 정말 ‘새 발의 피’이다. 윤 할아버지는 사실상 산본시장 일대의 청소부 노릇을 하고 있다. 하루 동안 처리하는 폐지의 양은 말할 것도 없다. 폐지에 딸려 오는 온갖 다른 쓰레기들도 윤 할아버지가 처리한다. 그 덕분에 상인들은 폐지와 다른 쓰레기를 세심하게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가 앞 길가에 종이 박스가 조금만 쌓여 있어도 윤 할아버지가 바로 처리한다. 덕분에 안 그래도 좁아서 경적 소리가 요란한 도로가 더 좁아지지 않게 된다.

 

▲ 윤 할아버지가 종이 박스를 접고 있다. 따로 분리한 일반 쓰레기가 보인다. 3월 11일. (사진=진이헌)  © 군포시민신문


윤 할아버지는 자신이 하는 일이 두 사람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한다. 그런 일을 혼자 하니 당연히 시간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끼니를 거르게 된다. 가끔 시간이 될 때 먹는 빵과 우유가 전부다. 저녁 식사도 부실하다. 12시 넘은 시각에 집에 도착해 씻고 먹자니 자꾸 간편식품으로 해결하게 된다. 기력이 약해지는 것을 느끼고 있다고 윤 할아버지는 말한다. 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지금과 같은 강도의 폐지 수집 노동을 해 나갈 것이다. 노후 대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것은 자신이 “직업 삼아 하는 일”이기 때문에.  

 

 

▲ 윤 할아버지가 하루동안 폐지를 수집하여 번 3만원을 보여주고 있다. 3월 11일. (사진=김건아)   © 군포시민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일상의 아름다움
메인사진
[일상의 아름다움] 광대나물
1/4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