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 한 달 전부터 군포시 후보는 전원 거대 양당 소속으로 채워졌다. 시장 1명, 경기도의회 의원 4명, 시의회 의원 9명. 도합 14명을 뽑는 선거에 모든 후보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소속이었다.
군포시는 그간 오랜 민주당의 강세와 보수당의 견제 구도에도 불구하고 지방선거에 진보정당 후보, 무소속 시민후보 등이 계속해 출마해 왔다. 지난 2020년 21대 총선에는 민중당(현 진보당) 소속 후보가 출마했다.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는 군포시민감시단장으로 활동하던 안희용 씨가 무소속 시장후보로 출마했다. 2016년 20대 총선에는 군포시갑과 군포시을에 각각 정의당과 민중연합당 후보가 출마했다. 2010년과 2014년 제5회·6회 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 시민후보를 만드는 운동이 있었으며 그 중 2010년에는 당시 안양,군포,의왕 환경운동연합 의장 등으로 활동했던 정금채 씨가 무소속 시장후보로 나서기도 했다. 2014년에는 기초의원 무공천 법안이 무산됨에 따라 이에 반발한 무소속 시의원 후보들의 출마가 이어졌으며 노동당, 통합진보당 소속 시의원 후보들도 있었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는 시장, 도의원은 물론이고 시의원 예비후보에서도 양당 소속 이외의 후보, 특히 환경이나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할 진보정당 후보의 출전이 전혀 없었다. 군포시와 이웃한 지자체 중 안양시와 과천시, 안산시에서는 정의당, 진보당, 노동당 등 진보정당 소속 시의원 후보들이 출마한 반면 군포시에서 출마한 양당 이외 후보는 경선 결과에 불복한 무소속 후보 뿐이었다.
이번 선거 군포시장 후보들의 공약을 살펴보면 재선 연임에 도전했던 후보도, 시정 교체에 도전한 후보도 한목소리로 재개발 이슈에 집중했다. 군포시의 원도심 문제와 신도시 노후화 문제를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유일한 의제는 아니다. 앞으로 군포시는 소각장 노후화, 수리산 도립공원, 탄소중립 등 각종 환경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미세먼지 문제는 이미 몇 년째 시민들에게 불편을 끼치는 중이다. 군포시에 살고 있는 장애인, 외국인, 성소수자 문제도 점점 더 깊이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진보적 의제들에 대해 거대 양당은 필요 이상의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 예컨대 지난 민주당 정권은 적지 않은 국민들에게 '진보정권'처럼 인식되었지만, 그 정권에 의해 추진된 대야지구 공공택지개발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시민과의 숙의 과정 없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진보정당에서 시장이나 도의원 후보를 내는 것은 어렵더라도, 시정활동을 감시하고 조례를 의결하는 시의원 후보마저 나오지 않은 것은 아쉬운 일이다. 지난 제20대 대선의 갈등구도가 격화되며 양당 이외 득표율이 3%에 그친 영향일까. 아니면 기존에 활동해온 세력이 지속적인 재생산 구조를 만들지 못해 지금은 후보로 나올 사람이 없는 것일까. 어느 쪽이든 안타까운 상황이다.
<저작권자 ⓒ 군포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칼럼·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